엑셀에서 수많은 데이터를 다루다 보면 “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보고 싶다”는 순간이 자주 발생합니다. 이럴 때 유용한 기능이 바로 **필터(Filter)**입니다.
필터 기능을 사용하면 원본 데이터를 유지한 채, 화면에 조건에 맞는 결과만 보여줄 수 있어 데이터 정리, 분석, 검토에 효율적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엑셀 필터 기능의 사용법, 조건 설정, 복수 조건 활용 방법까지 실무 예제와 함께 안내드립니다.
1. 필터 기능이란?
엑셀의 **필터(Filter)**는 표 형태의 데이터에서 조건을 설정해 원하는 항목만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입니다.
필터를 사용해도 원본 데이터는 숨겨질 뿐 삭제되지 않으므로, 매우 안전한 분석 도구입니다.
2. 필터 적용 방법
방법 ① 리본 메뉴 사용
- 데이터가 있는 표 범위 선택 (보통 첫 행은 제목)
- [데이터] 탭 → [필터] 클릭
→ 각 열 제목 오른쪽에 ▼ 버튼이 생김
방법 ② 단축키
- Ctrl + Shift + L → 필터 켜기/끄기 토글
3. 기본 필터 사용법
텍스트 필터
- 특정 텍스트 포함, 시작, 끝, 정확히 일치하는 값 선택 가능
예: “영업팀”으로 시작하는 항목만 보기
숫자 필터
- 크다, 작다, 같다, 범위 조건 설정 가능
예: “100 이상 500 이하인 금액만 보기”
날짜 필터
- 오늘, 이번 달, 지난주, 연도별 등 날짜 조건 지정
예: “2025년 3월의 데이터만 보기”
4. 사용자 지정 필터
필터 메뉴 하단의 **“텍스트 필터”, “숫자 필터”, “날짜 필터”**를 클릭하면 두 개 이상의 조건을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.
예시 1 – 숫자 필터
- 조건: 100 이상 AND 500 이하
→ 숫자 필터 → [보다 크거나 같음] + [보다 작거나 같음]
예시 2 – 텍스트 필터
- 조건: “서울”을 포함하거나 “부산”으로 끝나는 경우
→ 텍스트 필터 → 사용자 지정 필터 → OR 조건 설정
5. 복수 조건 필터 (여러 열 필터링)
각 열에 대해 필터를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.
예시
이름 | 부서 | 매출 |
---|---|---|
김민수 | 영업팀 | 500 |
박지훈 | 개발팀 | 300 |
이서연 | 영업팀 | 150 |
- 부서가 “영업팀”이고
- 매출이 200 이상인 경우만 보기
→ 두 열에 각각 필터 설정
6. 필터 해제 및 전체 보기
- 필터 제거: [데이터] 탭 → [지우기] 클릭
→ 전체 데이터가 다시 보임 - 필터 기능 자체 끄기: Ctrl + Shift + L
7. 필터된 데이터 복사
필터 적용 후, 화면에 보이는 결과만 복사하여 다른 시트에 붙여넣기도 가능합니다.
방법
- 필터 적용 상태에서 범위 선택
- Ctrl + C → 다른 시트에 Ctrl + V
※ 숨겨진 데이터는 복사되지 않음
8. 실무 활용 예시
활용 목적 | 예시 |
---|---|
미납 고객 확인 | 상태 열에서 “미납”만 필터 |
월별 실적 분석 | 날짜 열에서 특정 월만 표시 |
재고 부족 상품 | 재고 수량 < 10인 항목만 추출 |
부서별 인사자료 | “총무팀”만 필터링해서 별도 저장 |
9. 자동 필터 vs 고급 필터 차이점
구분 | 자동 필터 | 고급 필터 |
---|---|---|
설정 방식 | 드롭다운 메뉴 클릭 | 조건 범위를 따로 설정 |
조건 수 | 간단한 조건 | 복잡한 다중 조건 |
사용 난이도 | 쉬움 | 중급 이상 |
결과 출력 | 원본 위에 표시 | 다른 영역에 복사 가능 |
→ 고급 필터는 이후 고급 기능 편에서 따로 다룹니다.
엑셀의 필터 기능은 대량 데이터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추출할 수 있는 핵심 도구입니다. 원본을 손대지 않고 분석할 수 있어 안정성도 뛰어나며, 실무에서 반드시 활용해야 할 필수 기능입니다.
다음 글에서는 고급 필터의 활용법을 통해 보다 복잡한 조건 설정과 다른 영역에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복사하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.